본문 바로가기
건설

흙막이 가시설 용어정리 및 보고서, 계획서 포함 사항

by 우스프 2023. 9. 11.
반응형

용어정리

1. 흙막이 판 : 굴착 배면의 수압과 토압을 직접 지지해 주는 휨 부재
2. 흙막이 : 지반 굴착 시 인접지반의 붕괴 및 변위 등을 방지하기 위한 행위
3. 지하 연속벽 : 벤토나이트 안정액을 사용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철근망을 삽입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시공된 철근 콘크리트 연속벽체를 주로 영구벽체로 사용한
4. 지반 앵커 : 선단부를 얄질지반에 정착시키고, 이를 반력으로 하여 흙막이벽 등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체로서 그라우팅으로 조성되는 앵커체, 인장부, 앵커 머리로 구분한다. 어스앵커라고도 하며, 영구앵커와 가설 앵커로 구분한다.
5. 엄지말뚝 : 굴착 경계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도는 강제 말뚝으로 흙막이 판과 더불어 흙막이벽을 이루며 배면의 토압 및 수압을 직접 지지하는 수직 휨 부재
6. 안정액 : 액성한계 이상의 수분을 함유한 흙을 대상으로 공벽을 굴착할 경우 공벽의 붕괴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현탁액으로 벤토나이트를 활용한다.
7. 안내벽 : 지하연속벽 시공 시 굴착에 앞서 굴착구 양측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가설벽으로서, 굴착 입구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고 굴착 기계와 철근망 근입의 정확한 위치 유도를 목적으로 설치
8. 슬라임 : 보링, 현장 타설 말뚝, 지하연속벽 등에서 지반 굴착 시에 천공 바닥에 생기는 미세한 굴착 찌꺼기로서 강도와 침하에 매우 불리한 영향을 주는 물질
9. 쏘일 시멘트 벽체 : 오거 형태의 굴착과 함께 원지반에 시멘트 계 결합재를 혼합, 교반 시키고 필요시에 H-형강 등의 응력 분담재를 삽입하여 조성하는 주열식 현장 벽체
10. 쏘일 네일 : 중력식 옹벽 개념의 흙막이 벽체 형성을 하기 위해 지반에 삽입하고 그라우팅하여 지반을 지지하는 철근
11. CIP( Cast In Placed Pile) : 지반을 천공 후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현장 타설 말뚝으로 주열식 현장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함.
12. 소단 : 사면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면 중간에 설치된 수평면
13. 버팀보 :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을 굴착 현장 내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 또는 경사로에 설치하는 압축 부재
14. 록 볼트 : 굴착 암반의 안정화를 위해 암반 중에 정착하여 일체화 또는 보강 목적의 볼트 모양의 부재
15. 띠장 :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휨 모멘트와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설치하는 휨 부재로서, 강재 널말뚝에 가해지는 토압을 버팀보에 전달하기 위해 벽면에 직접 수평으로 부착하는 부재
16. 까치발 : 버팀보에 작용하는 하중을 띠장에 분산시킬 목적으로 버팀보 단부에 빗대어 사용하는 짧은 경사 버팀보
17. 강널말뚝 : 흙막이 공사에서 토압을 지지하고, 동시에 차수 목적으로서 서로 맞물림 효과가 있는 수직 타입의 강재 널말뚝

 

공정별 시공계획서 포함사항

시공 전에 설계도서 및 현장의 각종 상황( 주변 상황, 매설물, 등)을 고려한 공사 종류별 시공계획서와 상세도 준비
1. 상세한 위치, 사용 기계 및 공정, 지장물 처리 방법 등
2. 토질 조건, 흙막이 구조, 굴착 규모, 굴착 방법, 지하 매설물의 유무, 본 구조의 시공법, 인접 구조물 등과 관련을 고려하여 공정의 각 단계에서 충분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흙막이 구조물 시공 계획
3. 연암 등의 암반 지역과 같이 흙막이벽 대신 굴착 면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굴착 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공계획
4. 널말뚝, 엄지말뚝, 흙막이 앵커, 띠장, 버팀보 등의 부재 재질, 배치, 치수, 설치시기, 시공 순서, 시공법, 장비 계획, 지장물 철거계획, 가배수로 및 안전시설 설치계획 등
5. 설계 도면과 현장 조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, 그 처리대책으로서 전문 기술자가 작성하고, 공사감독자가 인정하는 자격을 갖춘 기술자가 서명 날인한 수정도면, 계산서, 검토서, 시방서 등을 포함하는 설계 검토 보고서
6. 계측계획
7. 흙막이 공사 중 또는 완료 후 구조물의 부상 현상에 대한 배수처리 및 부상 방지 대책
8. 흙막이 공사에 의한 공사 구간의 교통 처리계획, 교통안전요원의 운영계획 및 관련기관과 협의된 사항 등이 포함된 교통처리 계획
9. 기타 공사감독자가 필요로 인해 요구하는 사항

위의 내용에 대해 공사감독자가 인정하는 자격을 갖춘 기술자가 작성하여 서명, 날인하여야 한다.

 

시험성적서 및 보고서

공사 종류와 사용 재료에 따라 필요한 아래와 같은 시험성적서 및 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.
1. PC 강선 품질시험성적서
2. 그라우팅 배합설계 보고서
3. 그라우팅 시험 주입 보고서
4. 긴장 시험 보고서
5. 약액주입 관리 및 결과 확인 보고서
6. 계측관리 보고서
7. 강재 및 시멘트 시험 성적서

 

작업환경조사 보고서

공사의 종류와 사용 재료에 따라 필요한 아래와 같은 작업환경조사를 하여 보고서를 제출한다.
1. 지하 매설물과 인접 구조물의 종류, 위치 및 구조
2. 천공 및 주입 작업이 인접 구조물, 통행인 등에 미치는 영향의 유무 검토
3. 작업 장소 및 넓이
4. 장비의 반입, 반출에 대한 조건
5. 공사용수
6. 공사용 동력원
7. 배수의 장소 및 조건
8. 기타 허가 사항 처리

 

지반조사보고서

1. 주상도
2. 흙의 함수비, 입도분포 및 단위중량
3. 투수계수
4. 흙의 전단강도, 암반의 절리 및 강도 특성
5. 수평지반반력계수

 

지반 앵커 긴장계획서

1. 긴장할 앵커의 결정 및 긴장 순서

2. 긴정력

3. 신장량의 계산에 의한 예측

4. 시험 앵커의 선정

 

품질인증 서류

한국산업표준 제품이 아닌 일반제품을 사용할 때는 사용 자재에 대하여 사용 전에 제품자료와 납품자의 제품 시방서 및 설치 지침서, 품질보증서 등의 품질시험 성적서를 제출하여야 한다.

 

견본

공사감독자는 앵커 헤드, 쐐기, 패커, 지압판 등의 흙막이 공사에 사용되는 재료의 구조 및 특성을 파악할 수 있는 견본품 제출을 필요에 따라 요구할 수 있다.

 

해당글은 국토교통부 표준시방서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. 보다 자세한 표준시방서 참고 바랍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