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비트코인,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 화폐들의 인기가 더욱 높아지며 암호화 화폐 투자에 관심이 많으실 거라 생각됩니다!
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테마 별로 꼭 알아야 할 암호화 화폐 용어들을 정리하여 보았습니다!
1. 기본용어
1) 암호화폐 (Cryptocurrency)
-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는 화폐로, 중앙기관 없이 분산 네트워크에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.
2) 비트코인 (Bitcoin, BTC)
- 세계 최초의 암호화폐로,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가명을 사용하는 개인 또는 그룹이 개발했습니다.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암호화
화폐입니다.
3) 이더리움 (Ethereum, ETH)
- 비트코인 이후 등장한 대표적인 암호화폐로, 스마트 계약 기능을 제공합니다. 이더리움 네트워크 위에서 다양한 디앱(DApp)이 운영되
고있습니다.
4) 알트코인 ( Altcoin)
- 비트코인을 제외한 모든 암호화폐를 지칭합니다. 이더리움, 리플, 솔라나, 도지코인 등이 대표적인 알트코인입니다.
2. 기술적 용어
1) 블록체인 (Blockchain)
- 거래 정보를 블록단위로 저장하고 이를 체인처럼 연결하여 분산 네트워크에서 공유하는 기술입니다.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정보를
보유하게 되어 보안과 투명성을 확보합니다.
2) 스마트 계약 (Smart Contract)
-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계약입니다. 이더리움 플랫폼에서 주로 이용되며, 다양한 디앱(DApp)이 이를 기반으로
운영됩니다.
3) 작업증명 (Proof of Work, PoW)
- 채굴자가 복잡한 수학문제를 해결해야만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합의를 알고리즘으로, 비트코인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.
4) 지분 증명 (Proof of Stake, PoS)
- 암호화폐를 많이 보유한 사람이 블록을 생성할 확률이 높아지는 합의 알고리즘으로, 이더리움 2.0에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.
3. 투자 관련 용어
1) ICO ( Initial Coin Offering)
- 프로젝트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새로운 암호화폐나 토큰을 판매하는 방식입니다. 주식시장 IPO(Initial Public Offering)와 유사.
2) IEO (Initial Exchange Offering(
- 거래소에서 직접 새로운 암호화폐를 판매하는 방식으로, ICO와 유사하지만 거래소가 중개자로 참여합니다.
3) 에어드롭 (Airdrop)
- 특정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홍보나 보상 등의 목적으로 무료로 암호화폐를 배포하는 방식입니다.
4) 스테이킹 (Staking)
- 지분증명(PoS) 시스템에서 암호화폐를 일정 기간 동안 잠금으로써 네트워크 운영에 기여하고 보상을 받는 과정입니다.
5) 선물 계약 (Futures Contract)
- 특정 자산을 미래의 일정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에 매매하기로 한 계약입니다. 암호화폐 선물 ㄱ약은 암호화폐를 기초 자산으로 합니다.
6) 레버리지 (Leverage)
- 적은 자본으로 큰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자본을 빌리는 방식입니다. 예를 들어 10배 레버리즈를 사용하면 1 BTC를 담보로 10 BTC의
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.
7) 마진 (Margin)
- 선물 거래를 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 자본입니다. 마진은 거래 규모와 레버리지에 따라 달라집니다.
8) 청산 (Liquidation)
- 마진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 거래소가 포지션을 강제로 종료하는 과정입니다. 이는 계좌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행해집니다.
9) 롱포지션 (Long Position)
- 자산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매수하는 포지션입니다. 가격이 오를 때 수익을 얻습니다.
10) 숏 포지션 (Short Position)
- 자산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매도하는 포지션입니다. 가격이 내릴 때 수익을 얻습니다.
11) 미결제 약정 (Open Interest)
- 현재 거래소에 개설되어 있는 미결제 상태의 성물 계약의 총량으로, 이는 시장의 유동성과 활동성을 나타냅니다.
12) 만가일 (Expiration Date)
- 선물 계약의 거래가 종료되는 날짜입니다. 만기일이 되면 계약은 자동으로 종료되고, 정산이 이루어집니다.
13) 정산 (Settlement)
- 선물 계약의 만기일에 계약 조건에 따라 거래가 이루어지는 과정으로, 정산은 현물 인도나 현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
14) 레퍼럴 (Referral)
- 상대방의 레퍼럴 링크 또는 코드로 가입을 하면 거래 수수료 일부가 상대방에게 지급되는 등 일종의 추천인 제도
4. 보안 관련 용어
1) 지갑 (Wallet)
-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거래하는 데 사용되는 디지털 지갑으로, 지갑은 공용키(public key)와 개인 키 (private key)로 구성됩니다.
2) 공용 키 (Public Key)
- 암호화폐 주소와 유사하게 작동하는 키로, 다른 사람이 나에게 암호화폐를 보낼 때 사용합니다.
3) 개인 키 (Private Key)
- 암호화폐 지갑에 접근하고 거래를 승인하는 데 필요한 키로, 절대 타인에게 공유해서는 안됩니다.
4) 다중 서명 (Multi-Signature, Multi-Sig)
- 여러 명의 서명을 요구하는 지갑으로, 추가적인 보안 계층을 제공합니다. 거래를 승인하기 위해 여러 명의 승인이 필요합니다.
5. 암호화폐 생태계 용어
1) 디앱 (Decentralized Application, DApp)
-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으로,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작동합니다. 스마트 계약을 이용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.
2) 탈중앙화 거래소 (Decentralized Exchange, DEX)
- 중앙화된 중개자 없이 사용자가 직접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. 거래는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.
3) 중앙화 거래소 (Centralized Exchange, CEX)
- 중앙화된 중개자가 거래를 관리하는 거래소입니다. 사용자는 거래소에 자산을 예치하고 거래를 실행합니다.
4) 디파이 (Decentralized Finance, DeFi)
-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으로, 전통적인 금융 기관을 거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예를 들어,
탈중앙화된 대출, 예금, 보험 등이 있습니다.
5) NFT(Non-Fungible Token)
-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, 고유한 디지털 자산을 나타냅니다. 예술 작품, 수집품, 게임 아이템 등에 사용됩니다.
위처럼 암호화폐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 각 테마별로 용어를 정리해 보았으니 참고하시어 편한 암호화폐 거래 되시길 바라겠습니다!
'코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인 선물거래 뜻 부터 팁까지! 선물 시작전 알아야할 6가지! (0) | 2024.05.30 |
---|